반응형
스로틀바디(Throttle Body)는 엔진으로 들어가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중요한 부품입니다. 쉽게 말해, 자동차의 ‘기계식 목구멍’ 역할을 합니다.
🔹 스로틀바디의 역할
- 공기량 조절
- 가속페달(엑셀)을 밟으면 스로틀밸브(Throttle Valve)가 열리면서 엔진으로 들어가는 공기량이 증가합니다.
- 반대로 페달을 떼면 스로틀밸브가 닫히며 공기량이 줄어들어 엔진의 출력이 감소합니다.
- 연료 분사와 연계
- 공기량이 많아지면 ECU(전자제어장치)가 이를 감지하고 연료 분사량을 증가시켜 최적의 연소가 이루어지도록 조절합니다.
- 엔진 출력 및 연비에 영향
- 스로틀바디의 상태가 좋지 않으면 엔진 반응이 둔해지고 연비가 나빠질 수 있습니다.
- 가속 시 힘이 부족하거나 출력이 불안정할 경우, 스로틀바디의 오염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.
🔹 스로틀바디의 구조
- 스로틀밸브(버터플라이 밸브): 공기 유량을 조절하는 판
- 스로틀 포지션 센서(TPS): 밸브 개방 각도를 감지하여 ECU에 전달
- 전자식/기계식 스로틀바디
- 예전 차량은 케이블 방식(기계식)
- 최근 차량은 전자제어식(Electronic Throttle Control) 사용
🔹 스로틀바디 청소 필요성
오랜 주행 후 카본(탄소) 찌꺼기가 쌓이면 밸브의 움직임이 둔해져 연비 저하, 출력 저하, 시동 불량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
약 3~5만 km 주기로 청소하면 차량 성능 유지에 도움이 됩니다.
증상별 점검 필요
가속 시 답답한 느낌이 든다.
공회전 시 RPM이 불안정하다.
연비가 급격히 나빠졌다.
스로틀바디는 엔진의 호흡을 결정하는 중요한 부품이므로, 주기적인 점검과 청소가 필요합니다.
2025.02.17 - [분류 전체보기] - 차량 정비 중 부품 교체 시 주의할 점
차량 정비 중 부품 교체 시 주의할 점
자동차 정비를 하다 보면 부품 교체 과정에서 예상치 못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 특히 기존 부품이 개선품으로 변경되거나 호환성이 완벽하지 않을 경우, 정비사들은 다양한 방법으로 문
chaworld.tistory.com
320x100